한때 200만 명 넘게 가입했던 청년도약계좌가 2024년 말 종료되면서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새로운 제도인 청년미래적금이 그 빈자리를 채우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와의 차이, 청년미래적금 2025의 조건과 혜택, 신청 방법까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왜 사라지게 됐을까?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윤석열 정부에서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해 도입된 5년 만기 적금이었습니다. 매달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기여금을 보태주고, 비과세 혜택까지 제공해 최대 5,000만 원까지 모을 수 있었죠.
하지만 정부 예산 부담과 장기 유지의 어려움이 지적되며 2024년 12월 31일부로 신규 가입이 종료되었습니다. 이미 가입한 청년은 만기까지 유지할 수 있지만, 새로 가입하고 싶었던 청년들에게는 아쉬운 소식이었죠.

청년미래적금 , 어떤 점이 달라질까?
이재명 정부는 청년도약계좌를 대체할 상품으로 청년미래적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본 방향은 비슷하지만, 기간과 지원 방식에서 변화가 예상됩니다.
1. 가입 대상
- 만 19세 ~ 34세 청년
-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
- 일정 소득 이하 청년에게는 정부 매칭 지원 예정
2. 가입 기간
기존 청년도약계좌는 최대 5년이었지만, 청년미래적금은 1년·2년·3년 중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될 예정입니다.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입니다.
3. 정부 매칭 지원
정부가 청년의 납입액에 일정 금액을 추가 적립해주는 방식은 유지되지만, 규모와 방식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전문가들은 과거 청년내일채움공제처럼 기업과 정부가 함께 매칭하는 모델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합니다.
4. 비과세 혜택
이자 및 정부 지원금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주어져 실질 수익률이 높아질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미래적금 비교
|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2025) |
|---|---|---|
| 가입 대상 | 19~34세, 일정 소득 이하 청년 | 19~34세, 근로·사업소득 있는 청년 |
| 가입 기간 | 최대 5년 | 최대 3년 (1·2·3년 선택) |
| 정부 지원 | 월 납입액에 따라 기여금 지급 | 정부 매칭 검토 (내일채움공제 방식 유력) |
| 최대 수익 | 약 5,000만 원 | 1,200만 원 내외 예상 |
청년미래적금 신청 방법
- 자격 요건 확인 (연령·소득 조건)
- 참여 은행 또는 모바일 앱 접속
- 필요 서류 준비: 신분증, 소득증빙자료, 주민등록등본
- 심사 후 계좌 개설 및 자동이체 등록
정부는 2025년 9월 ‘새 경제정책 방향’ 발표와 함께 구체적인 운영 세부안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육아휴직 신청조건, 기간, 급여 총정리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부모를 위해 꼭 알아야 할 육아휴직 신청조건, 기간, 급여를 최신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육아휴직이란?육아휴직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
plus1616.com
노란봉투법 통과: 핵심 조항과 예상 파장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조 및 제3조 개정안)은 노동 쟁의에 대한 손해배상 및 가압류를 제한하고, 노동조합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이는 노동자의
plus1616.com
상생페이백 신청 사용방법, 소비복권 이벤트 총정리
상생페이백이란?'페이백(Payback)'은 지불한 금액의 일부를 되돌려 받는다는 뜻으로, 정부가 내수 경기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2024년 9월부터 11월까지 만 19세 이상
plus1616.com